본문 바로가기

18 조수민/드라마 속 의학 찾기

2조 의학 드라마 요약 및 정리

● 조원: 조수민
● 선정한 장면: 골든타임(2012) 3화 클립
https://www.youtube.com/watch?v=LSqE9evCPtw


● 질병이나 치료법: 복강구획증후군
● 나의 느낀 점:
6:57~ 복강구획증후군 부분
<복강구획증후군이란?>
위 장면은 환자의 배가 처음보다 많이 불었고 배가 단단해졌다는 말에 최인혁이 긴급하게 추가 수술을 하는 장면입니다.

'복강구획증후군(abdominal compartment syndrome)': 복부의 압력이 상승하여 장기를 압박하게 되면서 각 장기에 혈액이 공급되지 못해 기능 손상을 가져오는 현상. 수술 후 출혈 등에 의해 복강내 부피가 증가함

<복강구획증후군의 원인>
복강구획증후군의 원인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가장 흔한 원인은 대량의 수액 및 혈액투여이다.
혈액과 수액의 투여로 장과 복벽이 부어오르면 복부 장기를 압박하게 되고, 이 압력을 해소하기 위해 배를 열어두는 것. 결국 드라마 속 김민준 과장의 말처럼 개복이 치료라는 말도 일리가 있다.

'구획증후군'이란 용어는 '복강(배)'에만 사용되는 말은 아니다. 특정 원인에 의해 사지 근육이 부어서 압력이 높아지는 경우에 근육과 신경 등의 괴사를 막기 위해 근막을 절개해야 하는데 이런 현상도 구획증후군이라고 부른다. 또 뇌손상시 두개골을 열어놓는 것도 뇌의 압력을 낮추어 뇌의 혈액 공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방법으로 구획증후군의 일종이라고 볼 수 있다.

<복강구획증후군의 증상>
소변 배출이 감소된 신부전은 종종 복부 구획 증후군의 첫 번째 신호입니다(복부 내 압력이 15cm 이상 상승할 때 종종 발생함)

<복강구획증후군의 치료>
물론 배의 압력이 상승했다고 해서 항상 개복하는 것이 능사는 아니다. 열었던 배를 장기간 닫지 못해 세균 감염이 되면 더 큰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또 비정상적인 상황에서 발생하게 되는 여러 합병증의 우려로부터도 자유롭지 않기 때문에 드라마 내 황세헌 과장의 말처럼 개복은 극단적인 방법이라는 의견도 존재한다. 그러나 더 극한의 상황을 막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일 때는 피치 못하게 개복을 해야 하는 것이 사실이다.




● 조원: 지예원
● 선정한 장면: '흉부외과: 심장을 훔친 의사들' https://youtu.be/a-rRLALeLHg

● 질병이나 치료법: 탐폰-cardiac tamponade/심장 압전
cardiac tamponade
● 나의 느낀 점: 심장 압전은 심장 주위의 액체 주머니가 혈액이나 다른 액체로 채워져 심장에 압력을 가할 때 발생하는 질병으로 매우 심할 경우 총 정맥 환류가 떨어지고 혈압이 떨어지고 쇼크 발생으로 사망할 수 있다. 외상이나 혈관의 손상을 일으키는 질환이나 심장 종양 등으로 인해 발생하며 호흡곤란, 심흉부 불편감이나 충만감, 피로감, 심장소리 감소 등의 증상을 포함한다. 치료법은 US(초음파 검사)로 최대 삼출(혈관이 밖으로 나올 수 있는곳) 지점을 확인 및 최적의 접근 방식은 왼쪽 흉벽 중 다섯 번째 늑간 공간을 이용하여 심낭 바늘을 삽입하고 바늘이 길기 때문에 최대한 방향을 바꾸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 조원: 윤서연
● 선정한 장면: https://youtu.be/l0vHvJObvf8

● 질병이나 치료법: 트레머
● 나의 느낀 점: 트레머(=떨림, 진전)는 본태성 진전이나 파킨슨병같은 질병이 원인이 될 수 있는 질병이다. 레스팅과 액션, 인텐셜과 에센셜 트레머로 나뉜다. 드라마 속 선수는 처음에는 양궁할 때만 떨리는 인텐셜이었는데 현재는 잘 때 빼고 계속 떨리는 경험을 겪는다. 가장 보편적인 치료법은 프로프라놀롤이나 프리미돈 등의 약물을 통한 치료이다. 신경외과적 치료로는 DBS(뇌 시상 배쪽핵에 직접적인 전기자극을 줘 떨림을 멎게 하는 수술)가 있고 뇌 심부에 자극, 떨리는 증상 없어지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깨어있는 상태로 진행하는 awake surgery가 있다. 성공 확률 90% 정도이고 두 개 경막 열 때까지만 마취되도록 조절(뇌는 통증을 못 느낌)하며 수술 중 마이크로 레코딩(떨림 생기는 정확한 지점 찾으려고)한다.

● 조원: 노연서
● 선정한 장면: 낭만 닥터 김사부 2기 15화 중
● 질병이나 치료법: GCS (Glasgow coma scale) 글래스고 혼수 척도
● 나의 느낀 점: 드라마 내에서 두부 손상을 입은 환자의 손상 정도, 현재 상태 등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도구로, 현재는 광범위하게 신경학적 손상을 입은 환자에게 사용되고 있다고 한다. 이는 의식 장애 수준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의식 장애 수준을 총 3가지 분야에서 4~6단계로 나뉩니다. 눈뜨기, 언어, 운동 기능을 다음 표와 같이 분류하여 구체적으로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기 용이하다.

● 조원: 김다은
● 선정한 장면: 슬의생 2기 2화
● 질병이나 치료법: 간경변증
● 나의 느낀 점: 성인 질병중에는 간경변증에 간 이식이 많이 활용되고 있다. 대부분 과도한 음주나 독성물질, 만성 b형이나 c형 간염에 의해 염증이 발생해 겪게되는 질병이다. 염증으로 인해 간에 작은 덩어리가 만들어져 정상적인 간 조직에서 섬유화 조직으로 바뀌어 간의 부전이 진행된다. 간경변증은 피부에 반점이 나타나거나 호르몬 대사에 이상이 생겨 손바닥이 붉어질 수 있으며, 피하정맥이 확장되기도 한다. 이외에도 식도정맥류와같은 출혈이 발생하면 피를 토하거나 혈변이 나오기도 한다.
(진단) 이런 간 경변증은 조직검사를 통해서 진단할 수 있다. 이때 알파태아단백 검사(항원항체 반응 이용)를 많이 시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