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medicaltimes.com/Mobile/News/NewsView.html?ID=1144987
툴젠-앱클론, 고형암 타깃 CAR-T 치료제 개발
툴젠은 앱클론과 고형암 대상 CAR-T(키메라 항원 수용체 T세포) 치료제 공동 연구 개발 계약을 맺었다고 4일 밝혔다. 양사는 툴젠의 유전자교정 기술과 앱클론의 카티 플랫폼을 결합해 고형암 치
www.medicaltimes.com
요약
툴젠과 앱클론이 고형암 대상 CAR-T 치료제 공동 연구 계약을 맺었다. 툴젠의 유전자교정 기술과 앱클론의 CAR-T 플랫폼을 결합해 면역세포치료 플랫폼을 개발하는 것이 목표이다.
CAR-T 치료제는 환자의 혈액에 있는 T세포를 추출해 암세포를 공격하도록 유전자를 편집한 뒤 다시 환자에게 주입하는 치료제다. T세포에 암세포를 인식하는 유전자를 발현케 해 암세포가 T세포의 공격을 피할 수 없게 만든다.
툴젠의 T세포 적용 유전자가위 플랫폼(Styx-T)은 T세포 기능 억제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제거해서 T세포가 높은 수준으로 활성화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고형암 세포 사멸을 유도한다.
앱클론의 카티 플랫폼(zCAR-T)은 CAR-T 치료제의 활성을 조절하는 스위치 물질이 적용된 기술이다. 이 물질 투여로 CAR-T 활성을 제어해 사이토카인 방출 증후군(CRS) 독성을 최소화한다.
툴젠의 T세포 적용 유전자가위 플랫폼(Styx-T)은 T세포 기능 억제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유전자 교정으로 제거해 T세포의 활성도를 높은 수준으로 유지한다. 이를 통해 고형암 세포 사멸을 유도한다.
앱클론의 카티 플랫폼(zCAR-T)은 CAR-T 치료제의 활성을 조절하는 스위치 물질이 적용된 기술이다. 이 물질 투여로 카티 활성을 제어해 사이토카인 방출 증후군(CRS) 독성을 최소화한다.
*스위치 물질: CAR-T 활성을 ON/OFF로 스위치처럼 조절할 수 있는 물질.
스위치 물질의 코티닌 부분은 CAR-T 부분에, 어피바디 부분은 암세포에 결합하여 CAR-T세포 활성화시킴.
*사이토카인 방출 증후군: 주입된 세포치료제로 인해 염증 반응이 촉발, 전신의 백혈구가 활성화되며 염증성 사이토카인이 과분비돼 나타나는 다양한 증상을 총칭
(http://www.m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1747)
*사이토카인: 사이토카인은 혈액 속에 함유되어 있는 비교적 작은 크기의 면역 단백질 중 하나다. 세포 신호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면역 세포가 분비하는 폭넓고 느슨한 단백질이다. 사이토카인은 세포로부터 분비된 후 다른 세포나 분비한 세포 자신에게 영향을 줄 수 있다. (위키백과)
'19 윤서연 > 의학 신문 요약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전증 수술 치료, 어떻게 해야 할까 (0) | 2023.03.30 |
---|---|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치료 장내 미생물이 좌지우지 (0) | 2023.03.28 |
관심 집중 '타그리소' 1차 치료 급여 확대 첫 관문 통과 (1) | 2023.03.25 |
무너지는 외상센터 전담의사 이탈 가속 "비전이 없다" (0) | 2023.03.21 |
가톨릭의대, 심장 조직 재생 위한 신규 패치 개발 (0) | 2023.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