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백신 상용화 길 열리나…신생 항원 예측 모델 개발 (medicaltimes.com
암백신 상용화 길 열리나…신생 항원 예측 모델 개발
국내 연구팀이 암백신 타겟 선정에서 핵심이 되는 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항암백신 개발의 난제로 꼽히던 면역 반응성이 있는 신생 항원을 예측하는 딥러닝 모델을 구축한 결과다.삼성
www.medicaltimes.com
요약 : 최정균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가 면역 반응성이 있는 신생 항원을 예측하는 딥러닝 모델을 구축함.
T세포 반응성을 예측할 수 있는 기술을 딥러닝을 통해 만들어냄.-
신생항원을 정확하게 가려내는 방법을 여러 단백질의 구조를 딥러닝시켜 만들어냈다.
또, 그 기술은 T세포 수용체와 결합하여 면역반응을 자극하는지의 여부의 파악이 어려운 MHC 2형 반응성에 초점을 두기도 하였으며, 암백신의 상용화에 도움이 될 수도 있다.
느낀점
- 암백신을 이제 AI 시대인 만큼 인공지능, 딥러닝 등을 활용하여 구축해내는 플랫폼을 만든것을 보고 단지 의료 지식을 쌓는 것을 넘어 나는 여러 인공지능들도 알고 있으면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했다.
'19 이준희 > 의학 신문 요약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CVD 1차 약제, 최적 조합 찾아라…성분별 효과 검증 본격화 (0) | 2023.03.24 |
---|---|
당뇨치료제 피오글리타존 복용했더니…치매 발병률 감소 (0) | 2023.03.23 |
부모 지방간 있으면 자녀도 지방간 위험 높아 (0) | 2023.03.22 |
마약성 진통제 대안 떠오른 CBD오일 요로결석엔 무용지물 (0) | 2023.03.21 |
"망막 통해 파킨슨 환자 뇌신경계 기능 예측" (0) | 2023.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