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9 이준희/의학 신문 요약하기

암백신 상용화 길 열리나…'신생 항원' 예측 모델 개발

암백신 상용화 길 열리나…신생 항원 예측 모델 개발 (medicaltimes.com

 

암백신 상용화 길 열리나…신생 항원 예측 모델 개발

국내 연구팀이 암백신 타겟 선정에서 핵심이 되는 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항암백신 개발의 난제로 꼽히던 면역 반응성이 있는 신생 항원을 예측하는 딥러닝 모델을 구축한 결과다.삼성

www.medicaltimes.com

요약 : 최정균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가  면역 반응성이 있는 신생 항원을 예측하는 딥러닝 모델을 구축함.

T세포 반응성을 예측할 수 있는 기술을 딥러닝을 통해 만들어냄.-

신생항원을 정확하게 가려내는 방법을 여러 단백질의 구조를 딥러닝시켜 만들어냈다.

또, 그 기술은 T세포 수용체와 결합하여 면역반응을 자극하는지의 여부의 파악이 어려운 MHC 2형 반응성에 초점을 두기도 하였으며, 암백신의 상용화에 도움이 될 수도 있다.

 

느낀점

- 암백신을 이제 AI 시대인 만큼 인공지능, 딥러닝 등을 활용하여 구축해내는 플랫폼을 만든것을 보고 단지 의료 지식을 쌓는 것을 넘어 나는 여러 인공지능들도 알고 있으면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했다.